"통일은 대박"이 되려면 북한을 움직여야 한다

 

중앙일보 영어신문 (코리아 중앙 데일리) 2월20일자에 게재된 칼럼입니다.

영문 다음에 국문을 첨부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itting the reunification ‘jackpot’

To hit ‘the jackpot’ with reunification, both Koreas must agree on a peaceful and gradual reunification first.

President Park Geun-hye’s recent remark that Korean reunification would be “the jackpot” has hit a chord with the masses, winning nearly 70 percent of public support. But the statement will likely end up being empty political rhetoric if the government fails to present a concrete road map and implementation plan to lead North Korea towar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No doubt reunification is the aspiration of the whole nation and an ultimate policy goal.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progressives taking the lead in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past is that the conservative camp’s unification formulas were abstract and lacked concrete implementation measures. In contrast, the progressive camp presented a rosy picture, promoting economic and social integration of both Koreas by persuading the North to reconcile and cooperat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programs.

The progressives’ North Korea policy, characterized by “flooding Pyongyang with hefty assistance,” was a failure. Nevertheless, it is not possible to resolve tangled inter-Korean relations with the “pressure tactics” and the “reciprocity principle,” adopted by former President Lee Myung-bak and succeeded by President Park. The Sunshine Policy of the liberal governments failed to prevent Pyongyang from conducting nuclear tests,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and launching military provocations in the Yellow Sea. It only ended up strengthening the dictatorial rule of the despotic regime by providing it with generous economic assistance. However, it eased, to a certain degree, the level of tension on the peninsula and helped to promote exchanges and cooperation projects.

Reunification is a national goal, but the process is also important. People often compare the costs of unification with its profits and argue that the profits are more than twice the cost. But the reunification costs they quote only include the expenses needed for the gradual economic and social integration after the North agrees to reunify. It does not include the astronomical costs of reconstruction. The enormous cost of restoration is not the only thing that matters. Even more serious is that it will take longer than a generation to heal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wounds from the regime’s collapse. To hit “the jackpot” with reunification, therefore, both Koreas must agree on a peaceful and gradual reunification first.

In the meantime, people evaluated President Park’s leadership highly as her government upheld the principle of inter-Korean negotiation while maintaining resolute attitudes toward the North. But it helped fuel a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North, causing people to be skeptical of reunification.

Fortunately, the president’s remark - “reunification will be the jackpot” - has helped change people’s negative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Now, the government must demonstrate that it is trying hard to build trust on the peninsula by actively engaging in negotiation and dialogue with the North. Promotion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ith Pyongyang is not exclusive to the progressives.

The trend of offering Pyongyang generous economic aid, which lasted 10 years under the liberal governments, failed because the “broad-minded” leftist politicians, who became tame to the North Korean negotiation tactics, handed over leverage to the North, the beneficiary. They exaggerated the North’s “needs” and competed among themselves to show “bigger kindness” to Pyongyang. If they had provided assistance to necessary projects on a selective basis, following rules and observing due process, North Korean authorities would have realized that the South would not listen to their preposterous claims, even if the South offered economic assistance profusely.

There are fiv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German unification. They are Willy Brandt’s Ostpolitik, the Basic Treaty signed in 1972, East Germany’s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West, 17 years (1973-90) of inter-German exchanges and the Soviet Union’s advice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West. Of the five, the two Koreas have achieved three. South Korea adopted Nordpolitik in 1988 to establish diplomatic ties with form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USSR and China. The two Koreas signed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in 1991, and there are record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ccumulated during 10 years of leftist governments under former Presidents Kim Dae-jung and Roh Moo-hyun.

The two missing factors are North Korea’s lack of will to cooperate and China’s unwillingness to advise the North to cooperate with the South. Despite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the June 15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and the Oct. 4 Declaration, North Korea does not show willingness to cooperate with the South.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China’s North Korea policy, too. China is still holding back because of the buffer zone theory of the cold war era and worries that a rush of North Korean refugees across the border from a sudden change in the North would ruin its economy. China should be reminded that the U.S. Forces in South Korea will not be deployed beyond the 38th parallel even after the two Koreas are united. It must also recognize that an effective way to prevent the rush of North Korean refugees across the border is encouraging Pyongyang to promot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Seoul.

When President Park talks about South-North relations, she is often quoted as saying, “It takes both hands to clap,” meaning that her signature trust-building process cannot make progress as long as Pyongyang does not listen. Of course, the North is not willing to accept the South’s cooperation proposals, but our government also tends to settle for a passive measure of reciprocity. The government must persuade North Korea to engage i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y promoting various cooperation projects. It should also launch diplomatic efforts to persuade China to pressure the North to promote the South’s cooperation projects.

*The author is a visiting professor of communications at Sejong University.
By Park Sung-soo

통일이 대박이 되려면 북한을 움직여야 한다

박성수 (세종대학교 초빙교수)

박근혜대통령의 “통일은 대박” 발언이 70퍼센트에 육박하는 여론의 지지를 획득하는 대박을 쳤다. 그러나 북한을 화해와 협력의 장으로 끌어낼 방안과 구체적 실천계획이 없으면 “대박”발언은 정치적 수사에 그칠 것이다.

통일은 민족의 염원이며, 반드시 이루어야 할 국가적 정책 목표이며, 통일의 결실은 남북한은 물론 주변국에도 이익을 가져올 “대박”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구체적 실천계획과 준비 없이 통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동안 진보세력이 통일담론을 주도해 온 이유는 보수진영의 통일론이 구체적 실천계획이 결여된 관념적 통일이론에 그쳤기 때문이다. 반면 진보진영은 평화통일을 전제로 북한을 화해와 협력으로 이끌고, 교류와 협력을 진전시켜, 점진적으로 경제와 사회의 통합을 추진한다는 장미 빛 계획을 제시하였고,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등 구체적인 사업을 가시화했다. 박근혜 정부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실행에 옮길 구제적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진보진영의 무분별한 퍼주기식 대북지원 정책은 실패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5년 그리고 현정부가 지난 1년간 견지해 온 “압박정책”과 “상호주의”로 남북관계를 풀어나가는 것도 어렵다. 햇볕정책이 북한의 핵실험,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 서해상 군사도발을 막지 못했고, “퍼주기 식 지원”으로 전체주의 세습정권의 체제를 강화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포용정책은 어느 정도 남북간 긴장의 수위를 완화하였고, 제한된 범위에서 나마 교류와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데 성과를 거두었다. 이제 보수진영도 추상적인 통일론과 상호주의 원칙을 탈피해야 한다.

통일은 목표이지만 통일이 “대박”이 되려면 그 과정이 중요하다. 흔히들 통일의 비용과 이익을 비교한다. 그리고 이익이 비용보다 2배이상 크다는 분석을 장황하게 늘어 놓는다. 그러나 그 비용에는 북한정권이 통일에 합의한 후 남북한이 점진적으로 경제적, 사회적 통합을 추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만 포함된다. 북한 정권이 “외부의 힘”이나 “내부 모순”에 의해 붕괴되는 경우 일어날 혼란과 파괴를 수습하고 복구하는데 소요될 천문학적 비용은 포함되어있지 않다. 막대한 복구비용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정권붕괴 이후 야기될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상처를 치유하는 데 한 세대 이상의 긴 세월이 소요되는 것은 더 큰 문제다. 한마디로 북한정권 붕괴로 인한 급변사태는 6.25동란이 남기 상처 못지않은 후유증을 남길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이 대박이 되려면 먼저 남북한이 평화적, 점진적으로 통합에 합의하여야 한다.

그 동안 국민은 박근혜 정부가 남북협상에 원칙을 견지하고 의연한 태도를 유지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그것은 국민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증가시켜 우리사회에 통일 회의론, 통일 무용론이 팽배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았다. 불행 중 다행으로 “통일 대박” 발언이 국민의, 특히 젊은 층의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는 효과를 거두었다. 이제 박근혜 정부는 적극적으로 북한과 대화와 협상에 임하는 등 신뢰구축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북한정권과 화해와 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진보진영의 전유물이 아니다.

진보정부 10년의 “퍼주기 식 지원”이 실패한 이유는 “필요”에 따라 협상을 진전시키는 북한에 길들여진 “통 큰” 진보진영 정치인들이 북측의 “필요”를 과대 해석하거나 자기들 끼리 “선심쓰기 경쟁”을 벌인 결과 스스로 체제의 우위, 경제적 우위를 포기하고 지원의 주도권을 수혜자인 북측에 넘겨주었기 때문이다. “퍼주기”를 하더라도 필요한 지원을 선별적으로, 합리적 절차에 의해 진행했더라면 북측도 억지 주장이 통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인식했을 것이다.

동서독 통일에 기여한 요인은 브란트의 동방정책, 1972년 체결된 동서독 기본조약, 동독의 협력의지, 17년간(1973-1990) 축적된 교류와 협력 실적, 서독과 관계를 개선하라는 쏘련의 종용 등 5가지라고 할 수 있다. 5가지 중 남북한 간에는 1988년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1991년 남북한이 합의한 남북기본합의서가 있으며, 좌파 정부 10년간 햇볕정책 하에 축적된 교류와 협력의 실적이 있다. 부족한 것은 북한의 협력의지와 중국의 대남협력 종용정책이다. 동독이 동서독 기본조약 체결 후 서독에 적극 협력한 것과 달리 북한은 1972년 남북기본합의서, 2000 6.15 남북공동성명, 그리고 2007 10.4공동선언에 서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대남협력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의 대북정책에도 문제가 있다. 중국은 아직 냉전 시대의 buffer zone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북한급변사태 시 북한 난민 유입사태를 우려하고 있다. 중국은 통일 이후에도 주한미군이 38선 이북 지역에 배치되는 일이 없을 것이라는 미국의 약속을 상기해야 한다. 그리고 북한난민 유입을 막는 지름길은 북한을 설득해 남한과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게 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남북관계를 말할 때 “손바닥이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는 말로 북한이 상응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진전을 이룰 수 없다고 말한다. 북한이 남한과 교류와 협력의 길로 나서려 하지 않는 것은 분명 큰 문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정부가 소극적인 상호주의 정책에 안주한다면 그것 역시 문제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한편으로는 북한에 다양한 교류와 협력사업을 제안하는 등 북한을 화해와 협력의 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이 북한에게 남한과 교류와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대남관계를 개선하라고 종용하도록 하는 대중국 외교를 전개해야 한다.


1,192개의 글

    글 번호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
    공지 관리자11.09.16128
    1192뚱보강사24.09.1754
    1191뚱보강사24.09.1494
    1190뚱보강사24.09.08148
    1189뚱보강사24.09.05116
    1188뚱보강사24.09.04156
    1187뚱보강사24.09.01178
    1186뚱보강사24.08.31112
    1185뚱보강사24.08.30100
    1184뚱보강사24.08.28118
    1183뚱보강사24.08.27125
    화살표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