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3__ 경쟁 전략. 죽서기년(竹書紀年)과 사기(史記)

=

1143__ 경쟁 전략- 죽서기년과 사기---40ok


   1143__ 경쟁 전략. 죽서기년(竹書紀年)과 사기(史記)

 

로펌 머스트노우 mustknow 대표변호사 조우성 님이 경쟁 전략에 대해 글을 올려주셨습니다... [자기경영노트] 당신의 '전략'은 왜 작동하지 않는가? 경영학의 거장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가 그의 기념비적 저서 경쟁 전략(Competitive Strategy, 1980)에서 남긴 한 문장. "전략의 본질은 무엇을 하지 않을지 선택하는 것이다." 이 날카로운 통찰은 수십 년간 경영자들의 바이블이 되었다.

 

우리는 이 격언을 신봉하며 수많은 'No'를 외쳐왔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조직은 여전히 방향을 잃고, 부서 간 자원 다툼은 끊이지 않으며, 회의는 끝없는 논쟁으로 표류한다. 문제는 'No'를 외치는 용기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우리는 왜 이 'No 리스트'의 함정에 빠지는가? 그럴듯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 않을 일'을 정하는 것은 명확하고, 통제 가능한 행동처럼 느껴진다. 리스트를 작성하고, 하나씩 지워나가는 행위는, 우리가 무언가 단호한 결정을 내리고 있다는 착각을 준다. 하지만 이는 복잡한 문제 앞에서 손쉬운 답을 찾으려는 경영적 태만일 뿐이다.

 

사람들은 포터의 말을 오해한다. 전략을 '하지 않을 일'의 목록을 만드는 행위로 착각한다. 이는 전략의 결과이지, 본질이 될 수 없다. 수많은 'No'는 단 하나의 강력한 'Yes'가 없을 때 나타나는 증상에 불과하다. 전략의 진짜 본질은, 다른 모든 가능성을 하찮게 만들어 버리는 '타협 불가능한 단 하나의 핵심(The Non-Negotiable Core)'을 정의하는 것이다. 이 핵심은 조직의 '중력(Gravity)'과 같다. 한번 정의되면, 스스로 올바른 자원과 인재를 끌어당기고 관련 없는 모든 것을 밀어낸다. 이 강력한 인력(引力) 앞에서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는 더 이상 고통스러운 선택의 대상이 아니다. 그것들은 자동적으로, 그리고 필연적으로 제거된다.

 

1997년 애플에 복귀한, 스티브 잡스를 보라. 당시 애플은 스스로도 전부 파악하기 힘든 수십 종의 모델과 복잡한 제품군이라는 바다에서 익사 직전이었다. 잡스가 한 일은, 단순히 제품 목록을 줄이는 '뺄셈'이 아니었다. 그의 머릿속에는 "미치도록 위대한 제품을 만든다"는 타협 불가능한 'Yes'가 있었다. 'Yes'는 단순한 슬로건이 아니었다. 그것은 채용, 예산 배분, 마케팅, 심지어 포장 디자인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무자비한 운영 원칙이었다. 이 광적인 기준 앞에서 평범하고 수익성 있던 기존 사업들은 존재 가치를 상실했다. 'No'는 그의 위대한 'Yes'를 지키기 위한 당연한 귀결이었다. 그는 '하지 않을 일'을 선택한 게 아니라, '해야만 하는 단 하나'에 모든 것을 건 것이다.

 

당신의 전략 회의에서 '하지 말아야 할 일' 목록을 찢어버려라. 그것은 두려움의 산물이다. 대신 이 고통스러운 질문에 답하라.

첫째, 세상에 우리 회사가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 '타협 불가능한 핵심'은 무엇인가?

둘째, 이 핵심을 지키기 위해, 당장 편안하고 수익성이 좋더라도 죽여야 할 활동은 무엇인가?

셋째, 이 핵심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내일 아침 가장 먼저 내려야 할 단 하나의 결정은 무엇인가?

 

전략은 버리는 기술이 아니라, 버릴 수밖에 없게 만드는 단 하나를 세우는 기술이다. 당신의 조직을 움직일 압도적인 중력, 'Yes'를 찾아라. 그러면 우주를 떠돌던 'No'들은 제자리를 찾아 스스로 정렬될 것이다.

 

 

경쟁전략-경영대가들의 핵심이론을 골라 읽는다, 저자 나카노 아키라, 번역 고은진, 출판 비즈니스맵, 발행 2010.08.04.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론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이하 경쟁전략)은 마이클 포터가 하버드대학 정교수로 취임하기 2년 전인, 1982년에 출판한 책이다. 이후 경쟁전략은 사반세기 동안 기업 경영자는 물론이고, 기업에서 전략을 수립하는 수많은 비즈니스맨의 애독서였으며, 지금도 여전히 비즈니스서의 명저로서 그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다만 워낙 쪽수가 많기도 해서, 난해한 책이라는 인상이 강했는데, 이 책에서는 그 내용을 알기 쉽게 풀어보았다.

 

경쟁전략책은 전부 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경쟁전략을 이해하는 요령을, 2장부터는 新訂競爭戰略(마이클 포터, 다이아몬드사, 1995316일 발행, 2004831일 제17)을 기초로 그 전개 순서에 따라 설명했다.

 

경쟁전략 ********** 목차 **********

머리글 · 5

********** 1 경쟁전략의 이해

Chapter 01 경쟁전략은 정말 난해한 책인가· · 12

02 경쟁전략의 구조 · 14

03 경쟁전략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도표 · 16

04 산업과 경쟁의 분석 기법 · 18

05 경쟁 환경의 일반적인 특색 · 20

06 전략적 의사결정을 할 때의 주안점 · 22

칼럼 전략 입안의 기본 시점 - 전략 수립의 고전적 방법 · 24

********** 2 파이브 포스로 분석한 경쟁 환경

Chapter 01 파이브 포스의 기본 구조 · 28

02 파이브 포스의 이해 · 30

03 요인 - 신규 진입의 위협 · 32

04 신규 진입이 발생하는 원인 · 34

05 요인 - 기업 간 경쟁 관계 · 36

06 경쟁 환경을 바꾸는 철수장벽과 진입장벽 · 38

07 요인 - 대체재나 대체 서비스의 위협 · 40

08 요인 - 구매자의 교섭력 · 42

09 요인 - 공급자의 교섭력 · 44

10 파이브 포스를 토대로 전략 수립 · 46

칼럼 전략 입안의 기본 시점 - 전략 수립의 고전적 방법 · 48

********** 3 경쟁에서 승리하는 3가지 기본 전략

Chapter 01 경쟁의 기본 전략 · 52

02 기본 전략 - 비용우위 · 54

03 기본 전략 - 차별화 · 56

04 기본 전략 - 집중화 · 58

05 기본 전략을 지키지 않는 실적이 부진한 기업 · 60

06 기본 전략의 위험 요인 · 62

칼럼 규모의 경제와 경험곡선 · 64

********** 4 정확도가 향상된 환경 분석

Chapter 01 파이브 포스의 분석 정확도 향상 · 68

02 상세 분석 - 산업 내부의 구조 분석 · 70

03 전략집단 내 기업의 위치 · 72

04 현재 위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기업의 조치 · 74

05 상세 분석 - 경쟁기업 분석 프레임워크 · 76

06 경쟁기업의 반응 프로필 작성 · 78

07 상세 분석 - 시장 신호 · 80

08 상세 분석 - 경쟁적 조치 · 82

09 상세 분석 - 산업의 진화와 변화 · 84

10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산업 진화 과정’ · 86

11 상세 분석 - 구매자와 공급자에 대한 전략 · 88

12 공급자에 대한 구매 전략 · 90

칼럼 분석 기법으로 활용하는 전략집단도 · 92

********** 5 경쟁 환경의 일반적인 특징

Chapter 01 산업 환경의 유형별 분석 · 96

02 분석 - 세분화된 산업 · 98

03 세분화 구조에 대처하는 방법 · 100

04 분석 - 신생산업 · 102

05 신생산업의 경쟁전략 · 104

06 분석 - 성숙기로 전환하는 산업 · 106

07 성숙기로 전환하는 산업의 경쟁전략 · 108

08 분석 - 사양산업 · 110

09 사양산업의 경쟁전략 · 112

10 분석 - 글로벌 산업 · 114

11 글로벌 산업의 경쟁전략 · 116

********** 6 전략적 의사결정 시의 주안점

Chapter 01 의사결정 - 수직적 통합 · 120

02 수직적 통합을 의사결정할 때 · 122

03 의사결정 - 생산시설의 확장 · 124

04 생산시설 확장을 위한 선점 전략 · 126

05 의사결정 - 신규 산업 진입 · 128

06 인수합병을 통한 신규 진입 · 130

 

경쟁전략 입문-마이클 포터 교수- 저자 글로벌 태스크포스,

번역 김수광, 출판사 나무한그루, 발행 2008.

 

저자 글로벌 태스크포스(Global Taskforce)는 세계 18개국의 주요 경영대학원 54개교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35만 명의 공식 MBA 동창생 조직이다. 글로벌 워크플레이스(Global Workplace; 본부 런던)에서 만든 전략 실행 지원회사. 일본에서 가장 먼저 고용대체로서의 비고용형 인재지원 서비스 이규제큐티브 스와트를 전개하여, 많은 프로젝트 실적을 올렸다. 저서로는The 28 Business Bibles,통근대학 MBA시리즈, 코틀러 교수의마케팅관리입문등이 있다.

 

마이클 포터 교수와 경쟁전략(Competitive Strategy)... 마이클 포터 교수는 사상 최연소로 하버드대 교수가 되어, 현재까지 16권의 저서와 75개 이상의 논문을 집필하였고, 다국적 기업에 대한 경영전략 컨설팅 뿐 아니라, 미국을 위시한 세계 8개국 정부를 대상으로 정책제언을 하고 있는 전략연구의 제1인자이다. 그리고 그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출세작이 바로 경쟁전략으로, 이 책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기업 경영전략의 진수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포터 교수는 이 책과 후속작인 경쟁우위전략(Competitive Adventage)으로 경영학의 전략경영 분야를 확립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포터 교수의 주요 연구는 어떻게 기업이 경쟁우위를 가지게 되는가?’에 관한 것이다. 산업구조 분석을 통해 기존에 볼 수 없던 분석의 틀을 제시한경쟁전략은 지금도 경영전략 분야의 바이블로 군림하고 있다.

 

경쟁전략은 산업구조 분석을 위한 5가지 경쟁요인(신규 진입자의 위협, 산업 내의 경쟁, 대체품의 위협, 구매자의 교섭력, 판매자의 교섭력)을 설명하고, 근원적인 경쟁전략(원가우위 전략, 차별화 전략, 집중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산업환경을 5개의 유형(다수 경쟁 산업, 첨단 산업, 성숙 산업, 쇠퇴 산업, 글로벌 산업)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적절한 경쟁전략은 무엇이고 그 전략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선택할 때 조심해야 하는 요인 등을 밝혀 놓았다. 게다가 기업의 성장전략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전방-후방 통합’, ‘생산능력의 확장그리고 신규 진입의 세 가지 전략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한마디로 산업 내에서 기업이 생각할 수 있는, ‘경쟁자를 이기기 위한 전략의 거의 모든 영역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할 것이다.

 

 

     죽서기년(竹書紀年)과 사기(史記)

 

서울교통공사에서 근무한 이윤제 님이 페북에 글을 올려주셨습니다. 유트브 쿠빌타이를 캡쳐합니다. ‘죽서기년(竹書紀年)’은 연대기처럼 편년체 역사기록입니다.

 

편년체는 역사적 사실을 연··일 순으로 기록하는 사서 편찬 체제로, 기전체와 대비되며, 실질적으로 연대기와 같다. 이와 대비대는 역사서는 사마천의 사기. 어떤 역사책이 진실에 가까울까? 당연히 죽서기년이다. 죽서기년은 대나무에 역사를 기록했다. 진시왕의 분서갱유를 극복했다. 무덤속에서! 기원전 400년쯤 제작했고, 서기 280년에 도굴꾼에게서 발견됐다.

 

[참고] 죽서기년(竹書紀年)은 중국의 편년체 역사서로, 황제의 시대부터 위나라 양왕에 이르기까지의 일을 기록한 사서이다. 원래 이름은 기년(紀年)이며, 죽간으로 출토되어 죽서(竹書)기년’, 급군 무덤에서 나와 급총기년으로도 불린다. 죽서기년(竹書紀年)에서 발견된 죽간은 중국 허난성(河南省) 곽점(郭店) 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 죽간은 1980년대 초 곽점 II 유적에서 발굴되었으며, 대표적으로 '곽점죽간본'이라 불린다.

 

[참고] 사기(史记, 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司馬遷, 기원전 145년경~기원전 86년경)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다. 본래 사마천 자신이 붙인 이름은 태사공서(太史公書)였으나, 후한 말기에 이르러 태사공기(太史公記)로도 불리게 되었으며, '태사공기'의 약칭인 '사기(史記)'가 정식 명칭으로 굳어졌다. 본기(本紀) 12, () 10, () 8, 세가(世家) 30, 열전(列傳) 70권으로 구성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이다. 그 서술 범위는 전설상의 오제(五帝)의 한 사람이었다는 요(기원전 22세기)에서부터 기원전 2세기 말의 전한 무제(BC 156~BC 87) 까지를 다루고 있다.

 

사마천의 사기는 말그대로 사기다? 유학자가 역사를 썼다. 역사소설을 기록한 것이다. 반면에 죽서기년은 조선왕조실록처럼, 사관이 역사를 기록했다. 현시대 생생한기록이다. 대한민국의 역사기록 방식이다.

 

중공의 역사기록은? 거짓말을 썼다. 그래서 유학자들이 금서로 지정했다. 역사기록의 차이점... 사마천의 사기에는 요순임금을 성인군자로 기록 했다. 죽서기년의 기록에는 순이 요임금을 감금하고, 태자 단주와 접촉 금지시킨다. 그리고 요임금을 죽이고, 왕권을 찬탈했다.

 

중공의 조상이 야만인이라는 증거다. 그러나, 중공은 거짓말을 가르친다. 더군다나 진시왕은 문화문명을 말살했다. 중생의 무식화... 유생만 살려두고. 역사까지 조작한다. (나라, 기원전 221~기원전 206)는 기원전 221년 진 시황제에 의해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왕조로, 15년간 중국을 지배했다. 꽁자는 진시왕보다 300살이 더 많다. 10대 조상이다? 그러니까 중공사람이 될 수가 없다. 코리안인 것이다.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출생해서 기원전 479년에 사망했다.

 

중공. 차이나, 진나라는. 한국말을 중공말로 바꾼다. 어순을 반대로 바꿨다. 중공말이 생긴 것이다. 한문이 중공 것이라고. 빡빡 우기지만? 서기전 220년에서 중공말이 생긴다. 한국말의 어순을 바꾸면서, 중공말이 최초로 발생한다.

 

죽서기년의 기록은 한국말 한문으로 기록 되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어순대로 기록 되어 있다. 죽서기년은 한국말로 기록 했고, 사마천의 사기는 중공말로 기록 했다. 같은 한자를 중공말로 바꾼 진시왕... 중공은 태초부터 한국의 속국이다. 일본서기. 고서기 역시 역사소설이다. 작성연대가 서기 700년이후다.

 

[참고] 일본서기(日本書紀, にほんしょき)는 일본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 일본의 육국사(六國史)의 첫 번째에 해당한다. 고사기까지 포함하면 현존하는 두 번째로 오래된 일본 역사서이다. 덴무 천황의 명으로 도네리 친왕이 중심이 되어 편찬, 681년에 시작하여 720년에 완성했다. 일본의 신화 시대부터, 지토 천황의 시대까지를 취급한다.

 

백제, 고구려가 망한 왕족 유민이 일본을 건국하고. 역사를 기록한다.

고구려 ,백제의 역사를 일본역사로 기록한 것이다. 고조선은 70개의 제후국을 거느렸다. 아시아의 70개 나라를 지배한 고조선이다. 그 중 한 개가 진시왕인 것이다.

 

중공과 일본이 한국 역사를 말살하려는 이유는 뻔하다. 태초부터 한국의 농노들이기 때문이다. 농사꾼, 공돌이들은 공부할 새가 없다. 무식하다. 한국은 유식하다. 문맹율이 0%이다. 중공은 70%, 일본은 40%이다. 무식한 농사꾼, 공돌이들이다.

 

지배자는 한국인, 공부를 한 선비들이다. 사무라이는 무식한 칼잡이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 속담이다. 무식한 지배자는 지배자가 아니다. 깡패두목일 뿐이다. 대한민국 만세 만세 만세. 홍익인간. 제세이화. 역사광복...

서기 2024년 갑진년 단기 4357, 신시배달 5921, 환기 92971120... -철도원의 역사이야기-

 

 

[참고] 조우성 로펌 머스트노우 mustknow 대표변호사, 이포비e4B 경영연구소 소장/Creative Director

https://www.facebook.com/jowoosung

[참고] 경쟁전략 입문-마이클 포터 교수의- 저자 글로벌 태스크포스,

번역 김수광, 출판사 나무한그루, 발행 2008.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485395

[참고] 新訂競爭戰略(마이클 포터, 다이아몬드사, 1995316일 발행, 2004831일 제17).

[참고] 이윤제 서울교통공사에서 근무했음, 1984~2020, [쿠릴타이] TV.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42005106953

https://www.facebook.com/photo?fbid=1359012942175530&set=pcb.1359015052175319

https://www.facebook.com/photo?fbid=1359012902175534&set=pcb.1359015052175319

 

=-



화살표TOP